해 질 무렵까지 시간이 애매하고, 1박 2일이란 프로그램에서 낙화암에 가면 마시면 1살씩 어려지는 약수가 있다고 프로그램에서 설명이 나왔던 것이 생각나서 갑작스럽게 찾아보고 낙화암으로 이동했습니다.
부소산성 기본정보
▷ 위치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31
▷ 관람시간 : 3 ~ 10 월 : 9 ~ 18 시 / 11 ~ 2 월 : 9 ~ 17 시
▷ 입장료 : 어른 2,000 원 (개인) / 어린이 1,000 원 (개인)
티맵에서 낙화암을 찍으니까 하단에 공영주자창을 알려주길래 차를 주차 했습니다.
물론 이정표에도 낙화암 가는길 이렇게 적혀 있고 매표소 분도 30 정도만 가시면 낙화암에 가실 수 있을 거라고 하실래 아무 의심 없이 이동했습니다.
길은 잘 정비되어 있고, 사람도 많지 않고 주민분들은 운동삼아 산책 하시는 분들도 보였습니다.
부소산성 내에 다른 곳들도 많지만 저희는 시간 관계상 낙화암만 보고 가기로 했었기에 다른 곳들은 들르지 않았습니다.
가는 길에 힘이 들어 사자루에 올라가 쉬었다가 낙화암으로 이동했습니다.
사자루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 99호로 부여 부소산성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자리 잡고 있는 누각으로 이곳은 달구경을 했다는 송월대가 있던 자리입니다. 조선 순조 24년에 군수 심노승이 임천군 군사리에 세운 것으로, 조선시대 임천의 관아 정문이었던 배산루를 1919년에 이곳으로 옮겨 짓고는 사자루라 이름하였습니다. 백제시대 금동석가여래 입상이 발견되어 더욱 주목되받는 장소입니다.
사자루에서 조금만 더 가면 백화정 보입니다.
백화정
백화정은 낙화암(타사암) 위에 있는 정자이다. 나당연합군의 공격으로 사비성이 함락될 때 이곳으로 목숨을 버린 궁인들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1929년에 세운 것으로 전합니다. 백화정이란 이름은 중국 북송 시대에 시인 소동파가 혜주에 귀양을 갔을 때 성 밖의 호수를 보고 지은 '강금수사백화주'라는 시에서 유래합니다. 이곳을 감싸고도는 백마강과 주변의 산들이 어우러져 한 폭의 산수화 같은 풍경입니다.
낙화암
낙화암은 부소선 북쪽 백마강을 향해 우뚝 서 있는 큰 바위입니다. 바위는 50m 정도의 높이의 절벽을 이루고 있으며 강물에 이르러 한 번 꺾인 단이 있습니다. 이 단을 이룬 암벽에 송시열이 '낙화암' 이라고 쓴 글자가 새겨져 있고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가 멸망할 때 궁인들이 화를 피하지 못할 줄 알고 남의 손에 죽지 않겠다며 부여성 북쪽 모퉁이 큰 바위에 올라 몸을 던져 순절하여 '타사암'이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훗날 사람들이 궁인을 꽃에 비유하여 이곳을 낙화암이라고 불렀습니다.
낙화암 위에서 구경을 하고 다시 돌아가야 되는데, 와이프랑 아이가 너무 힘들어 해서 유람선을 타고 가기로 했습니다.
검색을 해보니까 유람선이 배 떠나는 시간이 정해진게 아니고 사람이 어느 정도 모여야 출발한다고 했던걸 기억해서 선착장으로 가는데 멀리서 배 한편이 오고 있었습니다.
느낌이 저 배 놓치면 안되겠다는 생각으로 선착장까지 달려갔고, 생각보다 가는 길이 길었습니다.
저희는 편도로 이용했으며, 낙화암에서 편도를 이용하니까 카드가 안된다고 하시고, 5시가 마지막 배였는지 매표소 문을 잠그고 같이 퇴근 하셨습니다.
걸어서는 30~40분 정도 걸렸던 거 같은데 배를 타니 10분 정도 걸린 거 같습니다. 배를 타고 가면 돌에 새긴 낙화암이라는 글씨도 볼 수 있습니다.
가족단위로 왕복 요금을 이용하면 살짝 비싼 것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관람후기 및 TIP
- 아래 사진은 저희가 다닌 코스인데, 마지막 복귀 할 때는 성인도 좀 지칩니다.
- 도보 or 유람선 정확히 노선 타서 원하시는 곳에 주차하시면 됩니다.
- 유람선 비용이 저렴한 거 같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 관람시간은 2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 줄 서서 먹는다는 장원막국수는 선착장 앞에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하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와 가볼만한 곳] 양주 조명박물관 방문 및 관람안내 (0) | 2024.04.21 |
---|---|
[아이와 가볼만한 곳] 서울 국립어린이과학관 실내 체험 및 안내 (0) | 2024.03.21 |
[아이와 가볼만한 곳] 정림사지오층석탑 관람안내 (3) | 2024.03.05 |
[아이와 가볼만한 곳] 국립부여박물관 이용안내 및 어린이박물관 예약 (1) | 2024.03.03 |
[아이와 가볼만한 곳] 전곡선사박물관 이용안내 및 나들이 정보 (2) | 2024.02.25 |